주요 소장품

home >> 소장품 >> 주요 소장품

맹종읍죽孟宗泣竹, 왕상빙리王祥氷鯉

  • 명칭맹종읍죽孟宗泣竹, 왕상빙리王祥氷鯉
  • 다른명칭능묘조각陵墓彫刻-동자석童子石
  • 국적/시대한국 / 19세기
  • 분류사회생활 - 의례생활 - 상장 - 석물
  • 재질암석 - 기타
  • 크기추후 입력 예정

능묘제도
능묘 주위에 석물을 배치하는 풍습은 중국에서 시작되었는데, 우리나라에서는 당나라의 영향을 받은 통일신라 초기부터 나타나며 조선시대에 이르러 유교적 가치관과 맞물려 전성기를 맞이합니다. 조선시대에는 사대부뿐만 아니라 중인, 서인들도 경제력이 허락하는 한에서 돌아가신 분께 예와 격식을 갖추고자 노력했습니다. 이후 점차 형식화되면서 조각 작품과 같이 상징적인 의물(儀物)로 남게 되었습니다.

능묘조각
사람의 형상을 한 돌 조각상, 석인(石人)은 능묘를 수호하는 석물(石物) 중 하나로 왕을 섬기는 문관과 무관을 조각하여 왕의 권위를 상징합니다. 석인은 외형에 따라서 크게 문인석과 무인석, 동자석 등으로 나뉩니다. 문인석은 머리에 복두를 쓰고 공복을 입은 채 홀(忽)을 잡은 모습을, 무인석은 갑옷을 입고 투구를 쓴 채 손에 칼을 쥔 형상을, 동자석은 도교, 불교, 유교, 무속신앙 등 여러 요소들이 혼재된 모습으로 다양한 종류와 형태를 보여줍니다.

소장품 설명
지금 보시는 석인 2점은 각각 대나무와 잉어를 손에 쥐고 있는 형상을 하고 있는데, 둘 다 효심이 지극함을 나타내는 고사를 상징하고 있어 흥미롭습니다.
맹종읍죽(孟宗泣竹)은 ≪삼국지(三國志)≫ <오지(吳志)>에서 나온 사자성어입니다. 맹종(孟宗)이라는 효자가 한겨울에 어머니께 드릴 죽순을 구하지 못해 대나무를 향해 흐느껴 울자 홀연히 눈 속에서 죽순이 솟아났다는 이야기에서 유래됐습니다. ‘맹종곡죽(孟宗哭竹)’, ‘맹종설순(孟宗雪筍)’, ‘곡죽생순(哭竹生筍)’이라고도 합니다.
왕상빙리(王祥氷鯉)는 중국 동진(東晋) 때 간보(干宝)가 쓴 설화집인 ≪수신기(搜神記)≫ 제11권에서 나온 사자성어입니다. 왕상(王祥)이라는 효자가 한겨울에 계모를 위해 잉어를 잡으려고 강가에 나왔다가 강물이 얼자, 체온으로 얼음을 녹이기 위해 그 위에 엎드렸는데, 얼음이 절로 깨지면서 잉어가 뛰어올랐다는 이야기에서 유래됐습니다. ‘왕상리어(王祥鯉魚)’, ‘왕상부빙(王祥剖氷)’, 또는 얼음 위에 엎드려 잉어를 구한다는 뜻의 ‘와빙구리(臥氷求鯉)’라고도 합니다.